ESG

국민건강을 위한 변함없는 노력으로 함께 하겠습니다.

환경경영
방침 및 목표
환경경영위원회 역할과 책임
구분 관련 부서 담당 분야 및 업무
위원장 총괄(CFO) 기획관리본부 환경경영 목표 및 전략, 이슈 대응, 투자 집행, 자본 조달 등 제반 사항 총괄 책임 및 권한
전담부서 간사 기업문화부
(ESG팀)
환경경영 추진전략 기획/수립, 유관부서 이행과제 관리 총괄, 경영진 보고
환경경영
실무조직
온실가스 및
에너지 감축
생산본부
(생산1, 2, 3실)
공장 내 환경경영방침 준수·실천(오염물질 배출 최소화, 온실가스 및 에너지 사용 효율화)
연구지원팀 연구소 내 환경경영방침 준수·실천(오염물질 배출 최소화, 온실가스 및 에너지 사용 효율화)
총무팀 본사 온실가스 및 에너지 데이터 관리, 사내 임직원 참여 캠페인 지원
환경오염물질
관리
기술지원실
(설비팀/공무팀)
생산지원실
(생산지원팀)
[설비팀] 온실가스 및 에너지 관리, 환경오염물질 배출시설 관리, 에너지시스템 관리
[생산지원팀] 사업장 생산활동 중 발생되는 폐기물 처리, 재활용, 배출량 실적 관리
[공무팀] 사업장 환경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설비 유지·보수 관리
환경경영체계 기획실 환경경영 추진 지원
환경경영
실무지원조직
친환경 구매 및
공급망 관리
구매실
(구매1, 2팀)
친환경 구매 및 지원·관리, 공급망 관리
리스크 관리 법무실
(법무팀)
법적 리스크 검토 및 윤리·준법 경영 지원
이해관계자
대응
커뮤니케이션실
(IR팀)
공시 데이터 검토, 이사회 보고 관련 소통·협력
커뮤니케이션실
(홍보팀)
환경경영 운영실적 홍보(보도자료, 소통채널 등)
환경경영 목표 및 중·장기 전략
중 · 장기 로드맵

도입기(‘22~23)

- 환경경영 체계화

성장기(‘24~27)

- 환경경영 내재화

확산기(‘28~’50)

- 환경경영 고도화

추진전략

환경경영체계 내재화

법규 준수 및 환경 지표 개선

탄소중립 실현

전략과제

1.중장기 환경목표 · 전략 구체화

2.환경경영 전담 조직 운영(환경경영위원회)

3.임직원 환경 교육

4.ISO 14001 인증 유지

1.대기 및 수질오염물질 자체 관리 기준 강화
(기준 대비 95%)

2.폐기물 재활용 비율 확대
(폐합성수지 100% 재활용)

3.수질오염방지설비 증설 및 운영

1.노후설비 정기 검사 · 유지보수

2.에너지 및 온실가스 사용량 정기 모니터링 및 관리

내부 환경관리 기준

가. 대기오염물질 관리기준

관리 항목 내부 관리기준 비고
질소산화물(NOx) 38(보일러), 142.5(집진기) ppm 법적 기준의 95 %
황산화물(SOx) 9.5(보일러), 190(집진기) ppm
먼지 28.5(집진기) mg/S㎥

나. 수질오염물질 관리기준

관리 항목 내부 관리기준 비고
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(BOD) 114 mg/L 법적 기준의 95 %
총유기탄소량(TOC) 71.25 mg/L
부유물질량(SS) 114 mg/L
환경경영 중장기 목표(집약도)
※ 기준연도: `20~`22년도 3개년 평균
구분 단위 당해연도 목표 및 실적 중·장기 목표
`23년도 목표 `23년도 실적 `24년도 목표 `27년 `30년 `50년
온실가스 tCO₂/억원 2.34 2.01 2.33 2.29 2.26 2.03
에너지 TJ /억원 0.042 0.036 0.041 0.041 0.040 0.036
폐기물 배출량 Ton/억원 0.08 0.07 0.08 0.08 0.07 0.07
용수 사용 Ton/억원 31.24 28.86 31.09 30.62 30.14 27.16
대기오염물질 kg/억원 0.34 0.21 0.34 0.33 0.33 0.29
수질오염물질 kg/억원 3.11 4.86 3.1 3.05 3 2.71
※ 기준연도: `20~`22년도 3개년 평균
※ 집약도(원단위 당 배출량/사용량) 감축항목 : 온실가스 및 폐기물 배출량, 에너지 및 용수 사용량, 대기 및 수질오염물질 배출량
환경경영 조직체계

환경경영위원회

경영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질적인 환경 영향을 파악하는 등 환경경영체계를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유지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 환경경영 전담 실무조직